설 연휴 병원 운영 서비스 안정성 확인!

Last Updated :

설 연휴 기간 비상진료체계 운영 현황

이번 설 연휴 동안에는 1만 6815개소의 병·의원이 문을 열 예정이며,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무려 361.6% 증가한 수치입니다. 모든 시민이 안전하게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지원할 방침입니다. 정부는 최상목 권한대행 주재로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개최해 비상진료체계 운영 현황을 점검했습니다. 이 자리를 통해 의료진에 대한 감사의 뜻을 전하며, 국민이 의료 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의지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정부는 설 연휴 동안 비상응급 대응기간을 설정하고 이 기간 동안 안정적인 비상진료체계 유지에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입니다.

의료기관 운영에 대한 지원 방안

정부는 설 연휴 기간 동안 문 여는 의료기관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 조치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설 당일인 29일에는 의료기관 운영 시 보상을 대폭 강화할 계획입니다. 보상이 기존의 20%에서 60%로 증가하며, 병·의원은 9000원, 약국은 3000원의 지원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설 연휴 동안 환자들이 의료 서비스를 원활히 이용할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이를 위해 지자체와 협력하여 지역별 의·약사회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하기로 했습니다.


  • 설 연휴 기간 문 여는 의료기관 숫자의 큰 증가폭
  • 모든 병·의원에 대한 상대적 보상 강화
  • 지자체와 의·약사회 간의 효율적인 협력체계 구축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

응급의료체계 유지 특별대책은 전국 413개의 응급의료기관을 모니터링하여 각 기관별로 복지부, 행안부, 각 지자체 소속 담당관이 일대일로 지정되어 모니터링을 추진합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응급의료 운영의 안정성을 높이며, 시민의 안전을 보장할 계획입니다. 또한, 발열클리닉을 기존 115개소에서 135개소로 확대하여 경증호흡기질환 환자들이 응급실에 쏠리지 않도록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 이와 함께, 호흡기질환 협력병원의 진료 범위를 확장하고 진료 역량을 보완할 것입니다.

고위험 환자 진료 지원

정부는 고위험 산모 및 신생아에 대한 진료 지원을 강화하고, 이를 위해 산과 · 신생아 전원 · 이송 전담팀을 운영합니다. 별도의 종합상황판 구축과 NICU 확보 협조 요청 등을 통해 진료체계를 개선할 계획입니다. 이러한 방안은 진료역량이 취약한 고위험 환자들에게 보다 효과적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입니다. 이와 같은 지원은 환자들이 적시에 적절한 진료를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줄 것입니다.

응급 의료 상황 관리 체계

중앙응급의료센터의 상황 모니터링 체계 실시간 중증도별 환자 현황 파악 중증 질환 전원에 대한 지원 체계 구축

각 지자체는 단체장을 중심으로 비상의료관리상황반을 운영하여 응급 의료체계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보건소별로도 응급진료 상황실을 운영하여 의료 정보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체계는 시민들의 의료 접근성을 높이고, 긴급 상황에 보다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든 것입니다. 이 모든 노력이 함께하여, 설 연휴 동안 국민들이 필요한 의료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할 것입니다.

의료시설 정보 확인 방법

설 연휴 동안 문 여는 병·의원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응급의료포털(E-gen) 웹사이트와 119, 보건복지부 콜센터(129), 시도 콜센터(120)에서 해당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네이버 지도와 카카오맵에서도 응급실 및 명절 진료 의료기관 정보를 제공합니다. 따라서, 경증 질환의 경우 가까운 동네 병·의원이나 중소 병원 응급실을 먼저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 연락을 통해 운영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의료진 격려와 지원

최상목 권한대행은 중대본 회의 후, 성북 우리아이들병원 발열클리닉 시설을 방문해 의료진과 환자를 격려했습니다. 이 병원은 서울 동북권에서 유일하게 보건복지부가 지정한 소아청소년 전문병원으로, 특히 설 연휴 기간 동안에도 매일 진료를 제공합니다. 국민들이 호흡기 질환으로 인해 의료 서비스를 꼭 이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힘쓸 것입니다. 이를 통해 국민들은 연휴 동안 불안감 없이 의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정부의 최종 메시지

최 권한대행은 "국민은 현장을 지키는 의료진의 헌신을 결코 잊지 않을 것이며,"라며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그는 경증 환자들이 발열클리닉을 적극 이용하도록 안내해줄 것을 강조했습니다. 이와 같은 정책들은 국민이 소중한 생명을 지킬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입니다. 더욱이, 정부는 필수 의료와 지역 의료에 종사하는 의료진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전했습니다.

문의 및 참고 정보

이번 설 연휴 기간 동안의 모든 의료 정보와 지원 체계에 관한 문의는 다음 기재된 기관을 통해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키워드: 기획재정부 경제구조개혁국 044-215-8571 | 국무조정실 사회복지정책관실 044-200-2295 | 보건복지부 코로나19후속관리팀 044-202-1768. 이 외에도 질병관리청 감염병관리과와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과에서도 문의 가능하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설 연휴 병원 운영 서비스 안정성 확인!
설 연휴 병원 운영 서비스 안정성 확인! | 경북진 : https://gyeongbukzine.com/4828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북진 © gyeong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