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 위험

Last Updated :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 위험

수면무호흡증이란 무엇인가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호흡이 멈추거나 불규칙해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이로 인해 호흡이 일시적으로 중단되거나 매우 얕아져 수면의 질이 크게 저하됩니다.

수면무호흡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수면 중 호흡 중단
  • 주간 졸림증
  • 아침 두통
  • 코골이
  • 기분 변화(우울, 불안 등)
  • 집중력 저하

급성심장정지와 수면무호흡증의 관계

수면무호흡증은 급성심장정지의 주요 위험 요인 중 하나로, 흡연보다도 더 높은 위험도를 보입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급성심장정지 발생 위험이 54% 증가합니다.

특히 심혈관질환이 없는 18~64세 인구에서는 위험도가 76%, 65세 이상에서는 34%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현황과 생존율

연간 약 3만여 명의 급성심장정지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그 수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급성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7.8%에 불과하며,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경우는 5.1%에 그칩니다.

수면무호흡증 발생 현황

  • 연령별로는 남성은 30~40대, 여성은 50~60대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보다 약 두 배 더 많이 수면무호흡증을 겪고 있습니다.
  • 국내 전체 남성의 약 4%, 여성의 약 2%가 수면무호흡증을 앓고 있으며, 발생률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수면무호흡증 자가진단과 치료법

자가진단 방법으로는 남성, 흡연, 음주, 비만, 고혈압 등의 위험요인이 있으면서 잠을 잘 못 자거나 코를 고는 경우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전문의 진료와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법은 크게 행동치료, 기구요법,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 행동치료: 규칙적인 운동을 통한 체중감소, 옆으로 누워 자기, 음주 및 흡연 제한
  • 기구요법: 지속적 양압기(CPAP), 기도 개방 구강장치
  • 수술적 치료: 비강수술, 인두부 수술

급성심장정지 인지 및 응급처치

급성심장정지 환자를 발견하면 즉시 119에 연락하고 심폐소생술을 시작해야 합니다. 심폐소생술은 가슴 가운데를 성인 기준 약 5cm 깊이로 1분당 100~120회 속도로 눌러야 합니다.

자동제세동기는 전원을 켜고 음성 안내에 따라 전극을 부착한 후 리듬 분석과 전기 충격을 시행하면 됩니다.

예방과 관리

가정에서 수면무호흡증 증상과 위험요인에 주의를 기울이고, 필요 시 즉시 진료와 치료를 받아 급성심장정지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 위험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 위험
수면무호흡증과 급성심장정지 위험 | 경북진 : https://gyeongbukzine.com/4955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북진 © gyeong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