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도 부지깽이 봄 겉절이 맛보기

Last Updated :
울릉도 부지깽이 봄 겉절이 맛보기

울릉도 부지깽이 봄 겉절이 맛보기

봄이 찾아오면 특별히 생각나는 산나물이 있습니다. 바로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귀한 봄나물, 부지깽이입니다. 이 나물은 진한 향과 쌉싸름한 맛으로 입맛을 돋우는 별미로 손꼽힙니다.

부지깽이는 곰취의 한 종류로, 울릉도에서는 대표적인 봄나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쌉싸름하면서도 향긋한 향이 강한 것이 특징이며, 생잎 그대로 쌈으로 먹거나 살짝 데쳐 무침이나 장아찌로도 활용됩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간편하게 제철을 즐길 수 있는 요리가 바로 부지깽이 겉절이입니다. 부지깽이 100g을 깨끗한 물에 2~3번 헹궈 흙이나 이물질을 꼼꼼히 제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잎 사이사이를 세심하게 살펴 세척해야 합니다. 이물질 걱정이 있다면 부지깽이가 잠길 정도의 물에 식초 1숟가락을 넣고 10분 정도 담가두었다가 세척하면 좋습니다. 다만 너무 오래 담가두면 향이 빠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씻은 부지깽이는 물기를 제거한 후, 양파 1/2개를 얇게 채 썰어 준비합니다. 양파의 매운맛이 부담스러운 분은 찬물에 10분 정도 담가 매운맛을 줄일 수 있습니다. 양파 대신 당근을 채 썰어 넣어도 무방합니다.

양념장은 다진 마늘 1숟가락, 참치 액젓 1숟가락, 설탕 1숟가락, 굵은 고춧가루 2숟가락, 식초 2숟가락, 참기름 1숟가락, 매실액 1숟가락으로 만듭니다. 이 레시피는 부지깽이 특유의 쓴맛을 고려해 단맛을 조금 더 강조한 편입니다. 단맛이 부담스러운 분은 설탕 양을 절반으로 줄여도 좋습니다. 참기름 대신 들기름을 사용해도 맛이 좋습니다.

만들어진 양념장에 부지깽이와 양파 등 준비한 재료를 넣고 손으로 살짝 비비듯 무쳐줍니다. 너무 세게 무치면 풋내가 날 수 있으니 부드럽게 다루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마지막으로 통깨를 뿌려 마무리하면 완성입니다.

자극적인 양념 없이도 충분히 맛있고 건강한 한 접시, 울릉도 부지깽이 겉절이로 봄의 신선함을 식탁에 담아보시기 바랍니다. 계절이 주는 선물은 짧지만 그만큼 소중한 맛입니다.

울릉도 부지깽이 봄 겉절이 맛보기
울릉도 부지깽이 봄 겉절이 맛보기
울릉도 부지깽이 봄 겉절이 맛보기 | 경북진 : https://gyeongbukzine.com/4954
서울진 부산진 경기진 인천진 대구진 제주진 울산진 강원진 세종진 대전진 전북진 경남진 광주진 충남진 전남진 충북진 경북진 찐잡 모두진
경북진 © gyeongbukzine.com All rights reserved. powered by modoo.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