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구 참여 기업 모집 경북·광주 등 7개 지자체!
중소벤처기업부의 규제자유특구 모집 공고
중소벤처기업부는 14일 7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규제자유특구에 참여해 실증특례를 받고자 하는 기업과 기관을 모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국내 경제의 혁신과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중요한 조치로, 이러한 기회를 통해 산업계가 새로운 기술을 실험하고 상용화하는 데 기여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중기부는 이 공고를 통해 각 지역의 경제적 이점과 시장 특화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과제를 발굴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후보특구 지정 및 지원 내용
지난달 26일, 중소벤처기업부는 경북, 광주, 대전, 울산, 전남, 전북, 제주 등 7개 지자체를 규제자유특구 후보특구로 지정했습니다. 이러한 후보특구는 각 지자체가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는 특구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도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후보특구에 선정된 지자체는 특구당 1억 원의 과제 기획비와 기술 및 규제 전문가의 컨설팅을 제공받게 됩니다. 이를 통해 기업들은 필요한 규제를 해소하고, 실증 실험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정부의 밀착 지원을 받게 될 것입니다.
- 모집 시기 및 방법 - 각 지자체별로 공고에 따라 상이합니다.
- 신규 규제자유특구 지정 여부 - 내년 상반기 심의위원회에서 결정됩니다.
- 참여 방법 - 각 지자체의 특구사업자 모집 창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각 지자체 실증 과제 개요
지자체별로 선정된 실증 과제는 지역의 특성과 산업의 니즈를 반영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진행됩니다. 예를 들어, 경북에서는 전기차의 핵심부품 재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전기차 생태계를 구축하고, 광주에서는 첨단재생의료 분야의 임상 연구 및 시술을 활성화합니다. 각 과제는 산업 혁신과 지역 경제의 다각화를 유도하며, 늘어나는 기술 수요에 부응하는 방향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후보특구별 실증 과제 내용 및 특징
후보특구에 포함된 각 실증 과제는 다음과 같이 구체화됩니다. 전북 기능성 식품 특구는 건강기능식품의 개발 및 안전성 검증을 추진하며, 제주 수소 에너지 저장 시스템 특구는 풍력 발전의 변동성을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기술 실증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전통 산업의 변화와 함께 지역 경제에 실질적인 이익을 가져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규제 부처 협의 및 지원 체계
지자체 | 실증 과제 | 지원 내용 |
경북 | 전기차 부품 리사이클링 | 1억 원 과제 기획비 |
광주 | 첨단재생의료 | 기술 지원 및 컨설팅 |
각 지자체의 실증 과제는 지역 산업의 혁신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부는 이러한 과제를 지원하기 위해 전문 기술자 및 규제 전문가의 밀착 협의를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중소기업과의 상호 협상 및 지원 체계가 강화될 것입니다.
정부의 지속적인 지원 의지
김홍주 중기부 특구혁신기획단 단장은 “올해 선정된 후보특구는 산업의 혁신성과 지역 특화성이 우수한 과제로, 중기부는 혁신적인 지역 성장 거점을 조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는 기업과 지자체 간의 협력을 통해 더욱 실질적인 효과를 이루기 위함입니다.
기업·기관 참여 방법 및 요령
후보특구에 참여하고자 하는 기업과 기관은 각 지자체의 특구사업자 모집 창구를 통해 신청해야 됩니다. 각 지자체는 공고에 따라 상이한 전략과 절차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들은 자신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실증 과제를 제안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 경제의 성장과 산업 구조 변화를 선도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특구사업자 모집 관련 문의처
특구사업자 모집에 대한 자세한 문의는 중소벤처기업부 특구혁신기획단 특구운영과에 연락하면 됩니다. 전화번호는 (044-204-7596)이며, 각종 정보 및 지원 사항에 대해 상세히 설명을 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들에게는 이 기회가 큰 혜택이 될 것입니다.
정책 지원 및 주의 사항
정책브리핑의 정책 뉴스자료는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의 조건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합니다. 단, 사진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기사 이용 시에는 출처를 반드시 표기해야 하며, 위반 시에는 저작권법 제37조 및 제138조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